투자를 위해 주식시장을 분석하는 방법은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과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으로 크게 대별된다. 먼저 기술력 분석이란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과 같이 과거 주식시장에 나타난 데이터를 기초로 미래 주가를 예측하여 적정 매매시점을 포착하는 분석기법으로 차트분석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기술적 분석의 근거는 개별주가나 시장흐름이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때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투자자들의 심리에 의해 결정된다는 데 있다. 기술적 분석은 주식가격에는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는 가정과 더불어 가격은 추세를 가지고 움직이며, 가격의 패턴은 반복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의 장점으로는 첫째, 과거의 주가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향후 주가를 예측할 수 있으며, 둘째,  숙달될수록 분석능력이 향상되고, 셋째, 효율적인 검색조건을 설정함에 따라 종목선정의 성공확률이 높아진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해 단점으로는 첫째, 과거의 자료를 기초로 미래 주가를 예측하는 만큼 예측 오류 가능성이 있고, 둘째, 개인투자자인 경우 기관투자자나 외국인에 비해 기술적 분석도구가 부족하며, 셋째, 작전세력의 주가조작을 의해 낭패를 당할 가능성이 있따는 점을 들 수 있다. 


기술적 분석에는 다우이론, 엘리어트 파동이론 등 추세분석, 차트분석, 패턴분석(모형분석), 지표분석 등이 있으며 기술적 분석을 위한 지표로는 이동평균선, 거래량(OBV, On Balance Volume), 거래량비율(VR, Volume Ratio), 주가등락선(ADL, Advance Decline Line), 주가등락비율(ADR, Advance Decline Ratio), 투자심리선, 이격도 등이 있다. 


기본적 분석이란 주식의 시장가격은 기업가치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기업의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향후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분석방법이다. 기업의 내재가치(본질가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경제 및 산업분석은 물론 개별 기업에 대한 기업분석까지 수행하여야 한다. 그럼 좀 더 자세하게 기본적 분석 절차를 살펴보도록 하자. 기본적 분석은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으로 세분된다. 


경제분석은 경제현상이 주식가격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지, 현재 시점이 투자 적기인지를 판단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통화량, 물가, 금리, 환율, 수출입 동향, 소비, 실업률 지표 등을 통한 분석이 여기에 해당된다. 


산업분석은 특정기업이 속해 있는 산업군이나 성장성이나 수익성 등을 파악하여, 향후 어떤 산업이 투자대상으로 유망한지를 살펴보는 분석이다. 산업분석은 투자종목을 선정하기 전에 투자대상 기업의 범위를 한정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분석은 어떤 종목의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저평가된 종목을 발굴하는 것을 말하는데 해당 기업의 자산상태와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재무제표로부터 추출된 각종 재무비율지표를 분석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CEO와 능력, 기업 이미지, 브랜드 가치 등 질적 요인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기업분석이다.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 모두 유용한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기업의 내재가치에 충실한 기본적 분석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초과수익을 올릴 수 있는 가치투자방법인 만큼 기본적 분석에 충실할 것을 권하고 싶다. 


<출처: 20대라면 무조건 써먹는 경제상식>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0) 2013.11.06
신용등급 평가란 무엇인가?  (0) 2013.11.05
주식시장은 언제나 합리적이다?  (0) 2013.11.05
프로그램 매매란 무엇인가?  (0) 2013.11.05
코스피200이란 무엇인가?  (0) 2013.11.05
Posted by 파노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