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손익계산서의 이해
경제상식 2013. 10. 31. 17:02 |포괄손익계산서란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정의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포괄손익계산서는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 기업의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법인세 등 세금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 기업의 배당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 경영자의 업적 평가를 위한 자료 등을 제공해주고 있어 매우 유영한 재무제표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경영성과란 결국 이익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이익은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익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경제학적 이익과 회계학적 이익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 [표4-1]경제학적 이익과 회계학적 이익의 비교
|
경제학적 이익 |
회계학적 이익 |
기본개념 |
현행가치로 측정된 경제적 부의 실질가치 변동을 이익으로 정의함 |
역사적 원가를 측정한 순자산의 증가를 이익으로 정의함 |
특징 |
- 현행가치로 측정됨 - 실질이익개념임 - 미래지향적 이익개념임 - 자본유지 접근법임 - 실물자본 유지개념임 - 현금주의(미래현금흐름의 할인)임 |
- 역사적 원가로 측정됨 - 화폐이익개념임 - 과거지향적 이익개념임 - 거래적 접근법임 - 재부자본 유지개념임 - 발생주의가 적용됨 |
장점 |
- 논리적, 이론적 우월성이 있음 - 자산가치의 변동을 적절히 반영함 - 현금흐름 예측에 유용함 |
- 검증 가능성, 객관성이 있음 - 수탁책임이 명확함 |
단점 |
- 객관성 결여 (측정의 주관성) - 이익발생원천 및 이익의 질에 관한 정보의 파악이 불가능 |
- 이익개념 및 측정에 관한 이론적 근거 미약 - 실현, 대응 등 인위적 개념에 따른 비교 가능성 저하 문제가 있음 - 현행수익과 과거원가가 대응되는 불완전한 대응이라는 문제가 있음 |
주식투자를 하기에 앞서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재무제표가 바로 포괄손익계산서일 것이다. 기업의 경영성과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괄손익계산서를 읽기에 앞서 포괄손익계산서에는 어떤 단점이 있는지를 한 번쯤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포괄손익계산서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이 100% 신뢰할 수 있는 이익은 아니라는 사실을 파악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출처: 20대라면 무조건 써먹는 경제상식>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표란 무엇인가? (0) | 2013.11.01 |
---|---|
재무상태표란 무엇인가? (0) | 2013.10.31 |
GDP 높은 것과 잘사는 것은 관계가 없다? (0) | 2013.10.30 |
우리나라의 최근 GDP (0) | 2013.10.30 |
GDP 구성 항목 어떻게 되나? (0) | 201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