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손익계산서란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정의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포괄손익계산서는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 기업의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법인세 등 세금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 기업의 배당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 경영자의 업적 평가를 위한 자료 등을 제공해주고 있어 매우 유영한 재무제표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경영성과란 결국 이익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이익은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익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경제학적 이익과 회계학적 이익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 [표4-1]경제학적 이익과 회계학적 이익의 비교

 

경제학적 이익 

회계학적 이익 

기본개념 

현행가치로 측정된 경제적 부의 실질가치 변동을 이익으로 정의함 

역사적 원가를 측정한 순자산의 증가를 이익으로 정의함 

 특징

 - 현행가치로 측정됨

- 실질이익개념임

- 미래지향적 이익개념임

- 자본유지 접근법임

- 실물자본 유지개념임

- 현금주의(미래현금흐름의 할인)임

 - 역사적 원가로 측정됨

- 화폐이익개념임

- 과거지향적 이익개념임

- 거래적 접근법임

- 재부자본 유지개념임

- 발생주의가 적용됨

 장점

- 논리적, 이론적 우월성이 있음

- 자산가치의 변동을 적절히 반영함

- 현금흐름 예측에 유용함 

- 검증 가능성, 객관성이 있음

- 수탁책임이 명확함 

단점 

- 객관성 결여 (측정의 주관성)

- 이익발생원천 및 이익의 질에 관한 정보의 파악이 불가능

- 이익개념 및 측정에 관한 이론적 근거 미약

- 실현, 대응 등 인위적 개념에 따른 비교 가능성 저하 문제가 있음

- 현행수익과 과거원가가 대응되는 불완전한 대응이라는 문제가 있음 


주식투자를 하기에 앞서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재무제표가 바로 포괄손익계산서일 것이다. 기업의 경영성과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괄손익계산서를 읽기에 앞서 포괄손익계산서에는 어떤 단점이 있는지를 한 번쯤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포괄손익계산서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이 100% 신뢰할 수 있는 이익은 아니라는 사실을 파악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출처: 20대라면 무조건 써먹는 경제상식>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표란 무엇인가?  (0) 2013.11.01
재무상태표란 무엇인가?  (0) 2013.10.31
GDP 높은 것과 잘사는 것은 관계가 없다?  (0) 2013.10.30
우리나라의 최근 GDP  (0) 2013.10.30
GDP 구성 항목 어떻게 되나?  (0) 2013.10.30
Posted by 파노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