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tudy/킴스큐 Rb

[킴스큐 Rb]킴스큐Rb 개발자를 위한 기초 활용노트 4 - APM_SETUP을 이용한 개발

파노카페 2012. 9. 29. 20:32

출처: http://www.kimsq.com/?m=forum&bid=devGuide&p=3&uid=12


개발을 위해서는 한땀한땀 공을 들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재봉틀로 찍어내듯 빠른 처리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을 위해서는 PC를 서버로 셋팅하고 익숙한 윈도우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물론 리눅스 터미널이 더 편하다면 그 것을 사용해도 됩니다.

 

APM_Setup 에는 최신버젼의 Apache + PHP + Mysql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설치와 함께 개발환경이 구축됩니다.

 

APM_Setup 다운로드

 

APM_Setup을 기본으로 설치하면 C:\APM_Setup 폴더밑에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됩니다.

(버젼에 따라 약간씩 구성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htdocs 폴더가 홈디렉토리가 되므로 htdocs 안에 킴스큐Rb를 설치합니다.

 

 

다음은 실제로 킴스큐Rb 공식사이트를 APM_Setup을 이용해서 작업하는 화면입니다.

C:\APM_Setup\htdocs 를 IIS에서 가상디렉토리로 지정해 주면 80번이 아닌 다른 포트(보통 8080이나 801)를 이용해서 Apache와 IIS 간의 듀얼모드 작업도 가능합니다.(실제로 킴스큐Rb는 Apache 와 IIS에서 같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작업을 하다보면 사설IP가 필요하게 됩니다.

특히 모바일웹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설IP는 필수입니다.

 

사설IP는 공유기를 사용하신다면 보통 192.168 과 같이 사용되는 IP를 가지게 되는데 도스창에서 ipconfig 를 확인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IPv4 주소가 192.168.0.4 로 잡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작업중인 PC서버가 192.168.0.4 라는 가상IP로 접근이 가능함을 의미하게 됩니다.

물론 같은망(공유기)을 사용할 경우에 한정됩니다.

 

그러면 192.168.0.4 로 접속해 보겠습니다.

역시 localhost로 접속했을때와 마찬가지로 잘 접속이 됩니다.

 



이 상태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등의 모바일 기기가 있다면 같은 공유기의 WIFI망으로 연결합니다.

연결이 되면 역시 같은 IP로 접속해봅니다.

다음은 안드로이드 2.2 에서 접속해본 화면입니다.

 

 



이상과 같이 준비가 되었다면 킴스큐Rb를 이용한 웹개발의 기본적인 준비는 완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개발을 위한 권장환경

 

1. APM_Setup 설치

2. 유무선공유기

3. 모바일기기

 

참고) 노트북에서 작업을 할 경우 종종 외부에서 개발중인 것을 PC모드와 모바일모드로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노트북과 모바일기기를 같은 망에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SK통신사를 사용하고 있고 T wifi 망이 있다면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모두 같은 wifi 망에 연결시킵니다.

그런다음 노트북에서 ipconfig를 이용해서 연결된 IP를 확인합니다.

IP가 확인이 되었으면 앞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으로 해당IP에 접속합니다.

그러면 모바일모드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혹은 스마트폰이 무선AP나 테더링을 지원한다면 역시 같은 망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조건이 되므로 ipconfig로 IP를 확인한 후 접속하면 동일하게 모바일웹 접속이 가능합니다.